주 4일제 근무, 대한민국에서도 도전할 수 있을까? 해외와 국내의 사례로 살펴보는 전망

2023. 8. 7. 18:00내 생각/정보

    728x90
    반응형

    1. 대한민국 주 4일제 근무 과연 : 머리말

      출퇴근을 반복하다 보면 일주일이라는 시간이 짧게 느껴진다. 특히 주말은 이틀 밖에 되지 않아 평일보다 더욱 짧게만 느껴진다. 대학교를 다니던 시절만 하더라도 공강이라는 시간을 잘 활용하면 일주일 중 3일만 학교에 가는 것도 가능했는데 직장에서 그럴 수 없으니 주 4일제 근무에 대한 필요성이 느껴진다. 국내에서 주 5일제 근무가 완벽히 정착 된지 이제 막 10년이 되어가는 지금, 우리나라에서 과연 주 4일제 근무 도입이 가능할지 싶다.


    2. 주 5일제 근무 : 해외 사례

      우리나라 보다 먼저 주 5일제를 도입한 국가는 어디일까? 의외로 법령으로 먼저 주 5일제 근무를 지정한 것은 미국이다. 최초로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1908년 면 농장에서 유대인의 안식일을 위해 토요일에 쉬던 것에서 유래되었다. 전반적인 미국 국민 시민의 생활에 스며들기 시작하며 마침내 1938년 법령으로 지정되었다. 우리나라에 비해 약 100년 정도 빨리 도입된 것이다.

    3. 주 5일제 근무 : 국내 사례

      어째서 국내에는 주 5일제 근무가 늦게 도입된 것일까? 원인을 IMF에서 찾는 경우가 많다. 경제적으로 힘들 시기에 기존의 주 6일제를 버리고 5일만 근무하면 생산성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사회적으로 강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2년 4월부터 정부의 행정기관이 시범적으로 도입을 시작했다. 이듬해 7월부터 은행을 필두로 공식적인 주 5일제가 시행되었다. 모든 업종까지 주 5일제가 적용된 것은 2011년 7월이다

    4. 주 4일제 근무 : 해외 사례

      외의 일부 선진국에서는 주 4일제 근무를 시행하고 있다. 코로나 사태를 겪은 이후 주 4일제가 근로자의 능률을 상승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도입을 검토하는 기업들이 많아졌다. 지난해 2월 15일부터 벨기에는 주 4일제를 공식적으로 도입했고 임금 삭감 없이 선택할 수 있도록 법제화했다. 코로나 시기 이후로 주 4일제 도입의 속도에 가속이 붙었다.

    5. 주 4일제 근무 : 국내 사례

      국내의 경우 극소수의 기업을 제외하고 시행하는 곳을 찾아보기 어렵다. 올해들어 카카오와 에듀윌에서 기존에 시행하던 주 4일제를 폐지하였고 이에 따른 퇴사율이 함께 상승했다. 해외와 달리 주 5일제 중에서 재택 근무를 혼합하여 진행하는 근무 역시 주 4일제라고 하는 회사들이 많기 때문에 해외와 비교해 보았을 때 의미가 약간 다르다고 할 수 있다.


    6. 대한민국 주 4일제 근무 과연 : 결론

      근무 환경에 있어서 여타 선진국들과 달리 변화하는 속도가 더딘 우리나라의 특성상 주 4일제 근무 도입은 빠른 시일 내에 정착되기 어려워 보인다. 먼저 시작했던 주 5일제 또한 정착화 된 시기가 늦었기 때문에 더욱 그럴 것이다. 주 4일제를 먼저 도입하고 있는 해외 국가의 사례가 많아져야 국내에서도 도입 얘기가 나오게 될 것이다.

      이제서야 어느정도 정착화 된 주 5일제의 모습을 보며 국내에도 주 4일제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예전처럼 국가가 발벗고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. 2002년 정부에서 시범적으로 주 5일 근무를 도입한 다음 은행을 지나 기업이나 법령으로 확장 되었던 것처럼 국가에서 나서서 진행시킨다면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닌 충분히 현실성 있는 일이다.


    728x90
    반응형
    맨 위로